
난시청지역은 왜 생길까요?
- TV전파는 보통 높은 산에서 발사되어 넓은 지역을 동시에 방송할 수 있으나 송신소와 수신시점 사이에 고층건물, 산 등 장애물이 있으면 수신상태가 나빠집니다.
자연적 요인에 의한 난시청
- 송신소로부터 너무 먼 경우
- 송신소와 수신지점 사이가 산으로 가로막힌 경우
인위적 요인에 의한 난시청
- 송신소와 수신지점 사이가 고층 건물로 막힌 경우
- 송신소와 수신지점 사이에 항공기가 자주 나타나는 경우
- 수신지점 근처에 고압선이나 전철구간이 있는 경우
- 수신지점 근처에서 고주파 혼신이 발생하는 경우 등
난시청 지역에 대한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포항MBC 기술부(054-289-0415)로 전화주세요.
친절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전파 음영지역(Dead Zone)은 통신 신호가 도달하지 않거나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지역을 말합니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지형적인 이유: 산악 지형이나 협곡, 계곡, 도시의 골목과 같은 지형적 장애물은 전파의 통과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인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신호 감쇠가 발생하거나 전파가 차단될 수 있습니다.
- 건물과 구조물: 건물 내부, 지하실, 지하철 역, 지하주차장 등은 전파가 통과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큰 금속 구조물이나 방파제와 같은 구조물도 전파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원격 지역: 인구가 적고 인프라가 부족한 원격 지역에서는 통신 인프라의 부재로 인해 전파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휴대폰 신호나 인터넷 접속이 불안정하거나 전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전파 간섭: 다른 전파 소스로 인해 전파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전파 음영지역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나 기지국 사이의 간섭이 전파 신호를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전파 음영지역은 중계소 설치, 반사판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전파 범위를 확장하거나 신호의 품질을 개선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지상파방송사의 수익구조가 날로 악화되고 있어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도 현실입니다.
임직원 모두의 노력으로 방송사 본연의 역할이 무엇인지 숙고하며, 방송품질 제고를 위해서 더욱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