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C▶
이번 총선이 여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도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환경운동가 출신으로
21대 국회에 입성하게 된
더불어시민당 양이원영 당선인에게
탈원전과 관련된 문제와
앞으로의 계획을 들어봤습니다.
박성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END▶
1128-1144
◀SYN▶(문재인대통령지난 2017년 6월 19일)
"탈원전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입니다. 이 땅에서 살아갈 우리 후손들을 위해 지금 시작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탈핵국가'를 선언하며 출발한 문재인 정부.
이번 총선에서 여당이 압승을 거두면서
탈원전 정책에 본격적으로 힘이 실릴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탈원전 환경운동가도 여당 비례대표로
당선됐는데, 양이원영 당선인은 지난 20여년간
환경운동연합에서 반핵 운동의 주역으로
활동해 왔습니다.
양이원영 당선인은 정부가 노후화된
월성원전 2.3.4호기의 안전성을 시급히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INT▶양이원영/ 더불어시민당 당선인
"(월성원전 2, 3, 4호기에서) 굉장히 많은 양의 삼중수소같은 방사성 물질이 일상적으로 대기로 방출되고, 바다로 방출되고 있어요."
사용후 핵연료 임시 저장고인 월성원전 맥스터
증설과 관련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습니다.
◀INT▶양이원영 더불어시민당 당선인
"(맥스터와 관련해) 주민들과 시민 사회와의
논의와 상관없이 건설을 서두르는 것처럼 가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또 원자력안전위원회도 비상임 위원들로 구성된 한계가 있다며 구조적인 개혁과 투명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INT▶양이원영/ 더불어시민당 당선인
"(원안위원들이) 자신의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서 한 달에 한 두 번 정도 회의에 오는 정도 수준으로는 일상적인 원전 안전, 고장, 사고 이런 것을 제대로 처리하기는 되게 버거운 (구조입니다.)"
양이원영 당선인은
탈원전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국가 부처의 협력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며, 21대 국회에서 법과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MBC 뉴스 박성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