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비가
전액 삭감된 것을 두고
국회에서 뿐만 아니라 지역 정치권에서도
공방이 뜨겁습니다.
장관은 반드시 추진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TK 홀대론을 들고 나왔고,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에서 시작한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때문이지
무산은 아니라며 반박했습니다.
김기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 25일, 추경안 심사를 위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
김정재 의원은 영일만대교 사업비
1,821억원이 전액 삭감된 것은
이재명 정부가 민생지원금을 주기 위해
가져 갔다는 취지로 비판했습니다.
◀ INT ▶김정재 / 국회의원(국민의힘)
"정부가 출범한지 20일 밖에 안됐어요. 어떻게 '적극 추진'에서 '적극 철회' 예산 삭감으로 뒤바뀔 수 있는 겁니까. 이것은 경북 포항시민에 대한 기만이자 배신 행위입니다."
(1시간 41분 32초~46초)
국토교통부는 영일만대교는 노선이
정해지지 않아 올해 안으로 착공이 어려운만큼 불용 가능성으로 예산을 삭감했을 뿐
반드시 추진한다고 재확인했습니다.
◀ INT ▶박상우 / 국토교통부 장관
"예산이 이번에 빠졌다고 해서 그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고 좀 더 좋은 노선을 찾기 위해서 사업계획 적정성을 검토중에 있다는 것을 말씀드리고요."
(1시간 42분 28초~39초)
장관의 해명에도 반발은 숙지지 않은채
오히려 지역 정치권으로 확산했습니다.
국민의힘 포항시의원들은 예산 복원과
대교 건설 공약 이행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 INT ▶김일만 / 포항시의회 의장(국민의힘)
"수도권과 특정 지역에는 아낌없이 투자하면서도 비수도권은 끝까지 외면하는 명백한 역차별이자 지역 홀대이다."
더불어민주당 포항남·북구지역협의회는
가덕도 신공항, GTX, 호남고속도로 광주 구간 확장 사업도 연내 집행이 어려워 감액됐는데도, 지역감정까지 끌어와 정쟁의 도구로 삼았다고 발끈했습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
제5차 국가종합계획에 포함돼
동해 임곡에서 흥해 죽천까지
노선을 확정했지만, 공사비가 4조원으로
증액되면서 윤석열 정부에서
형산강 대안 노선을 찾는 등
사업적정성 검토를 하느라 늦어졌다고
반박했습니다.
◀ INT ▶박희정 / 포항시의원(더불어민주당)
"감액된 영일만대교 예산은 올해 안에 쓸 수 없는 건설공사비와 보상비 입니다. 사업적정성 재검토가 끝나면 설계를 바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설계가 끝나고 나면 바로 예산을 다시 편성해서 투입할 수 있는데요."
이강덕 포항시장도 지난 24일 시정질문에서
"포항의 백년대계를 위해서는
기존 노선으로 가는 것이 타당하며,
국토부의 대안노선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영일만대교가 포항시민의 이름을 빌려
정쟁화 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기영입니다.
◀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