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원전 산업계 인사가 산업통상부 장관 후보로
지명되면서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데,
탈핵 단체들은 핵발전 중심으로
에너지 정책이 회귀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김형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신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원전 관련 대표 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
김정관 사장이 임명됐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에너지 믹스를 통해
재생 에너지 산업을 육성하면서,
AI 시대 원자력 발전도 주요한 에너지원으로
병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INT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지난 6월 30일)
"산업과 에너지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AI 시대를 준비하면서 저는 AI 시대라는게 머리가 반도체 데이터 센터라면 심장은 에너지입니다. 심장과 머리가 따로 떨어져 지낼 수 없다고 생각하고요."
이에 대해 탈핵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원전관련 기업 대표의 산자부 장관 임명을 통해 이재명 정부가 핵발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으로
회귀하는 건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습니다.
◀ INT ▶이상홍 탈핵경주시민공동행동 위원장
"장관 후보자가 평생 이제 원전 산업에 종사했던 사람이기 때문에 저희들이 봤을 때는 정부에서 원전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펴려고 하나 하는 의구심이 되게 많이 있습니다. 그러한 측면에서는 되게 부적절한 인사다라고 생각을 하고 있어요"
CG]새 정부에
탈핵 기조의 전력 수급 기본 계획 수립과
노후 핵발전소의 수명 연장 중단,
신규 핵발전소 건설 계획 중단을 요구하는
탈핵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
국정 기획위원회에 전달했습니다.
◀ INT ▶최경숙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
"세계적인 국제 정세나 우리나라 경제적인 것들을 봤을 때 원전 위주의 정책을 폐기하고 재생 에너지 중심으로 에너지 전환을 펼치는 새로운 정책이 마련이 돼야 합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마련된 11차 전력 수급 기본 계획이 폐지되는게 우선이거든요"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탄소 중립 시대에 맞춰
기후 에너지부를 신설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습니다.
특히 산자부의 에너지 관련 업무와
환경부의 기후 관련 업무를
기후 에너지부로 이관하겠다고 약속했는데,
규제와 육성 정책이 조화를 이룰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형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