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우리나라 철강업계가
국내 건설경기 침체와
중국산 저가 공세,
미국의 수입 관세 50% 부과로
삼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철강공단이 생기고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데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위한
민관 합동실시단이 포항을 찾았습니다.
김기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산업부, 기재부, 산업연구원 등
민관 실사단 20여명이 포항을 방문했습니다.
지난달 18일 경상북도가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신청에 대한
후속 조치입니다.
◀ INT ▶이강덕/포항시장
"정부와 국회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철강업을 보호하고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가지 제도적 뒷받침을 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실사 결과를 바탕으로 심의를 거쳐
빠르면 9월 중 지정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 INT ▶김호철/산업통상자원부 지역경제정책관
"산업부로서는 신청서 접수일로 지정 요건 충족 여부와 지역 대책에 대해서 관계 부처와 현재 검토중에 있으며 오늘 현지 실사를 바탕으로 해서 지정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입니다."
실사단은 앞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을 방문해
철강산업 위기 현황을 들었습니다.
[ CG ]최근 1년 새 포스코는
1선제 공장과 1제강 공장 폐쇄,
중국 장가항불수강을 매각했고,
현대제철은 포항2공장 폐쇄와
포항1공장 중기사업부 매각을 추진중입니다.
창사 이래 최대 위기에 직면한 철강사들은
지원 법안이 산발적으로 발의돼 있어
효과성이 미흡하다며, 정부의 종합적인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 CG ]저가 수입제 무역 구제 조치와
연간 6천억 원이 넘는 전기료 감면,
수소환원제철소 부지 확보와 관련해서는
어민회 보상 협의 중재와 예산 지원,
제철소 건설공사에 외국인 고용규제 완화 등을
건의했습니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면
금융·재정 지원, 연구개발 지원,
국내 판매 및 수출 지원,
고용안정 지원 등 혜택이 있습니다.
태풍 힌남노 때 포항은 한 차례 지정돼
2년간 1,772억원을 지원받았습니다.
대한민국 고도성장의 요람인 철강산업단지가
55년만에 공장가동률이 76%까지 떨어지면서
포항 인구는 만여명 가까이 줄고
중소기업, 소상공인은 폐업으로 내몰리고 있어
정부의 특단의 지원책이 필요합니다.
MBC뉴스 김기영입니다.
◀ E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