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어제(19일) 청도에서 발생한
열차사고 피해자들은
철도 주변 비탈면을 점검하러 이동하다
사고를 당했습니다.
그런데 이 점검, 사고 1주일 전에
코레일이 갑작스럽게
지시한 업무였던 걸로 확인됐습니다.
코레일의 추가 업무지시가 이번 사고를
불러온 것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손은민 기자입니다.
◀ END ▶
◀ 리포트 ▶
지난달 16일에서 20일 사이 전국에 물폭탄이
쏟아진 뒤 국토교통부는 코레일에
철도시설물에 대한 특별 점검을 지시했습니다.
많은 비로 철길 주변 사면 등에서 토사가
유출되는 일이 잦았기 때문입니다.
[ 부분 CG ]
코레일은 이달 초 특별점검이 필요한 곳들을
기존 시설물 정기 점검에 끼워넣었습니다.
사고가 난 업체 역시 지난 5월 코레일과
경부선 주변 시설물을 점검하는
용역 계약을 맺고 수행 중이었습니다.
애초 점검 시설물은 터널과 교량 508곳.
하지만, 코레일의 특별점검 요구로
경부선 주변 사면 68곳이
갑자기 추가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코레일의 업무 지시 시점은
사고 발생 일주일 전인 지난 12일입니다.
점검 대상이 늘어난 데다
유형이 다른 시설물이 추가됐지만
안전진단 설계에 변경은 없었습니다.
보고서 제출 기간도 이달 말까지.
기존 정기점검 기한은 12월말까지입니다.
업계에선 코레일의 무리한 추가 지시가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터져 나옵니다.
◀ INT ▶구조물 안전진단 업체 관계자(음성변조)
"열 몇개, 스무 몇 개 이렇게 (점검 대상이) 추가돼 버리면 용역 기간은 정해져 있는데 그걸 더 해야 되니까 용역사 입장에서는… 막 맞춰줄 수밖에 없죠 무리하게. 실제로도 그렇게 지금 하고 있고 철도 공사 일을. 안전진단 업체들이 … 너무 갑이다보니까"
[ CG ]
이에 대해 코레일은 해당 업체가 모든 시설물을
안전 점검할 수 있는 전문 업체라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계약법상 상대자와 협의를 거쳐
과업을 변경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코레일은 이번 사고 여파로
열차가 다니는 선로 주변에
모든 외주 작업을 중단시켰습니다.
코레일이 계약한 업체에
무리한 추가 업무 지시가
이번 사고를 불러온 것은 아닌지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MBC뉴스 손은민입니다.
(영상취재 윤종희, 그래픽 한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