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인구는 줄어들고 있지만,
실제로 지역을 오가며 생활하는 사람은
여전히 많습니다.
정부가 '생활인구 등록제'를 도입해
이런 사람들까지 행정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지역소멸의 돌파구가 될지 주목됩니다.
엄지원 기자
◀ 리포트 ▶
지역 거점 병원,
환자와 보호자, 의료진들로 분주합니다.
이 병원 하루 유동인구는 6천여 명.
◀ INT ▶ 정의경/ 입원환자
"원래 주거지는 충북 단양, 단양인데 인공관절 (수술)을 하려고 여기 와서 수술을.."
◀ INT ▶ 박소이/ 간호사
"첫 직장을 안동에서 시작했고, 타지 생활을
하다 보니까 여기서 새로운 사람도 많이 만나고 제 2의 고향이라고 생각이 들어요"
◀ st-up ▶ "이처럼 주소지는 제각기 달라도,
머무르며 활동하고 소비하는 인구를 포괄하는 개념이 바로 '생활인구'입니다."
정부가 이런 생활인구를 반영하기 위해
'생활인구 등록제'를 도입합니다.
줄어드는 주소지 인구만으로는 알 수 없는
실제 생활 규모를 정책에 담기 위한 겁니다.
등록제가 시행되면 축제·행사 정보와
교통·숙박 지원, 공공시설 할인 혜택을
생활인구도 누릴 수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경북 15개 인구감소지역
생활인구는 332만 명으로 주민등록 인구
82만 명의 4배에 달했습니다.
생활인구가 늘어나면 소비와 세수가 확대되고,
학교 같은 기반시설 유지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지자체들은
생활인구 유입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폐교를 워케이션 공간이나 문화센터로 고치고,
주말 정원을 조성해 생활인구를 불러들이는 등
시군별 사업 20여 개가 추진 중입니다.
◀ INT ▶ 이상수 / 경상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
"4년 전부터 인구감소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경북형 듀얼라이프 정책을 발표했고,
두 지역 살기 기반 복수 주소제도 제안한 바
있습니다."
실제 머무는 생활인구를 늘리는 일이
지역소멸시대 인구 정책의
새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MBC뉴스 엄지원입니다.
(영상취재 최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