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미국 조지아 배터리 공장 사태로 대구와 경북의 협력업체 직원들도 최소 30여 명이 미 당국에 체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체류 자격이 문제가 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원청업체인 대기업들이 비자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무리하게 일을 시킨 게 아니냐는 비판과 함께, 미국 투자를 강요하면서도 무자비한
단속을 벌인 트럼프 행정부의 이중적인 태도에도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도건협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대구시와 경상북도에 따르면 미국 조지아 배터리 공장 사태로 체포된 대구 경북 지역 업체 직원은 30여 명입니다.
이들은 대구의 이차전지 장비 제조업체 협력사 직원 10여 명과 경북 구미의 중견 이차전지 장비업체 직원 20여 명으로 파악됐습니다.
두 업체는 현대차와 합작해 현지 공장을 짓던 LG에너지솔루션 협력업체입니다.
체포된 직원들은 대부분 전자여행허가제, ESTA(이스타)나 노무가 금지된 B1(비원) 비자로 미국에 입국해 일한 것이 문제가 됐습니다.
◀ INT ▶ 업계 관계자(음성변조)
"그런 비자를 가지고 이제 미국에서 일을 하면 안 되거든요. 그리고 B1도 직접적인 고용은, 일을 못하게 돼 있습니다."
원청업체가 이런 문제를 몰랐을까?
◀ INT ▶ 업계 관계자(음성변조)
"당연히 알죠. 아는데 어쩔 수 없이 이제 미국에서 빨리빨리 비자를 안 내주다 보니까 이제 업무를 빨리 추진하기 위해서 그렇게 한 것 같습니다."
관세로 겁박하며 미국 투자를 강요하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조지아 공장 사태와 관련해 미국 법을 존중하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SYNC ▶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조지아에서 일어난 일은 흥미로운 일입니다. 동시에 이민세관단속국(ICE)이 한 일은 정당한 겁니다. 그들은 불법 체류 상태였으니까요."
필요한 인력은 합법적으로 빠르게 들여올 수 있게 하겠다며, 그 대가로 미국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훈련시키라고도 했습니다.
업계에선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으려면 비자 문제를 개선하고 미국에 안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한편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정부 협상 절차와 지역 내 피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유관 기관과 함께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도건협입니다. (영상취재 한보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