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의사가 없어 지역 주민들이 받는 고통은
사실상 국민의 기본권인 건강권이
침해받는 것과 다름없단 이야기가 나옵니다.
수도권의 필수의료 전문의와 비교하면
경북은 8분의 1 수준인데요.
전문의에 병원이 모자라다 보니,
우리 지역에서 중증 환자가 발생하면
구급상황관리센터는 초비상이 걸립니다.
이도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경상북도 구급상황관리센터입니다.
도내의 중증 환자를 이송할
병원을 찾아주는 곳입니다.
◀ SYNC ▶
김호성 / 경상북도 구급상황관리센터 1팀장
"경북 영양에서 의뢰한 환자분으로 70대
남성분인데, 14시부터 우측 사이드 위크니스
(뇌졸중 전조 증상)로 신고하셨습니다."
하지만, '의료진이 없어서' 또는
'장비가 없다'는 이유로
환자를 거절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 SYNC ▶
김호성 / 경상북도 구급상황관리센터 1팀장
"아.. 지금 전문의가 부족하다고요? 아..네
알겠습니다. 다른 병원 알아보겠습니다."
올해 초에도 영주의 조산 위기를 겪는 산모를
받아주는 병원이 없어 신고 5시간 후에야
경남의 한 병원으로 헬기를 통해 이송해야
했습니다.
의료 취약지에 산다는 이유로,
지역민의 건강권이 침해받고 있는 겁니다.
◀ INT ▶
김호성 / 경상북도 구급상황관리센터 1팀장
"여러 병원으로 전화를 돌리다 보면 환자
이송이 늦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같은 응급
환자라도..개인적으로는 사는 지역에 따라서
생사를 달라진다는 게 가장 안타까운 부분입니다."
[ CG ]
산부인과, 내과를 포함한
대표적인 필수의료 전문과목의
인구 천 명당 전문의 수는 경북은 0.36명.
서울 3.02명과 비교하면
8배 넘게 차이납니다//
◀ INT ▶윤성철 / 안동의료원 내과과장
"저때 까지만 해도 필수의료, 제가 내과
출신이다 보니까 내과는 항상 지원자가
많아서 (지역 병원에서도) 뽑아서 가게
됐는데요. 현재 대학 병원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거나 하는 다른 친구들 얘기를
들어보면 확실히 내과도 그렇고 대부분
미달이.."
의료 취약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선
현행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취약지를 지정, 관리하는 체계에
암 진료, 만성질환 등의
의료 과목은 제외돼 있는데다,
취약지 지원 재정도 규모가 크지 않은
응급의료 기금 등에 기대고 있는 실정입니다.
고령화로 인한 의료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가운데, 지역 의료 불균형은 앞으로 더욱
심해질 가능성이 큽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포함한
다수의 국책연구기관들은 2035년까지
약 1만 명의 의사가 부족할 거란
암울한 전망을 내놨습니다.
의대 정원이 2007년, 3천58명으로 동결된
이후, 의료진의 수도권 선호와 성형 등
미용 의료로 쏠리는 현상마저 심화하며
중소도시 지역민을 위한 의료개혁이
시급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MBC뉴스, 이도은입니다. (영상취재: 최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