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경주시가 지난 2015년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을 유치할 당시
정부는 매년 85억원의 방사성 폐기물
반입 수수료 지원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방폐물이
예상과 달리 적게 반입되면서
실제 지원액은 16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경주지역 시민단체와 방폐장 인근 주민들이
정부에 약속 이행을 촉구하는 가운데,
경주시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김형일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 2014년
경주시 문무대왕면에 조성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입니다.
정부는 방폐장을 유치한 대가로
폐기물 반입에 따른 수익을
경주시와 방폐장 인근 주민들에게
지원하기로 약속했습니다.
CG]매년 85억씩 60년동안
지원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
방사성 폐기물 반입량이
예상치에 크게 못 미치면서
실제 지원액은 16억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방폐장 인근 주민들과 경주시의회는
국가를 위해 위험한 방폐장을 유치했는데,
경주시민의 희생은 무시한 채, 정부가 약속을
어기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 INT ▶김남용 경주시 원전범시민대책위원장
"지역 주민은 상당히 억울하죠 우리가 방폐장
유치 때 지역의 어떤 갈등이나 시민 전체의
갈등을 겪으면서 지역적인 어떤 경제적인 이런 걸로 해서 혹시 방폐장이라도 유치해서 잘 살아 보자 하는 마음으로 이렇게 했는데 거기에 대한 어떤 약속이나 이행 부분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고준위 방폐물 특별법과 관련해서도
정부가 월성원전 내 기존 건식 저장시설에 대한 보상 방안을 제시하지 않아, 원전과 방폐장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경주시도 정부에 대책을 촉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INT ▶장진향 경주시 원자력정책과장
"저희들이 주민들의 요구 사항을 산자부로
공문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그런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동경주 발전협의회와 경주시 원전 범시민
대책위원회, 경주시의회 원전특별위원회가
지난 3일부터 세종 정부 청사 앞에서
13일째 릴레이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또 빠른 시일내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경우
방사성 폐기물의 반입을 막고,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의 운영을 중단시키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형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