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법률 개정으로 다음 달 19일, 즉 한 달 뒤부터
2인 이하 어선에선 구명조끼를 항상
착용하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정부가 자동으로 팽창하는
신형 구명조끼 보급 사업을 한시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요,
정부와 지자체가 80%를 보조해
자부담이 2-3만 원 정도인데도
아직 신청하지 않은 어민들이 적지
않다고 합니다.
장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가자미 조업철을 맞은
포항수협 활어위판장,
밤샘 조업을 마친 어선들이
하나 둘 들어와 경매 준비를 하느라
분주합니다.
이들 어선의 대부분은 1인 또는 2인 이하의
소형 어선입니다.
이런 배들을 대상으로 다음 달 19일부터
승선 시에는 항상 구명조끼를 착용하도록
의무화한 개정 법률이 시행됩니다.
현재는 기상 특보 시 노출된 갑판에 있는
경우에만 착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착용 의무를 대폭 강화한 겁니다.
[ CG ] 그동안 소형 어선들의 사고가 잦았고
최근 5년간 어선 사고로 인한 사망 실종자
10명 가운데 8명 이상이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 INT ▶이일억 (1인 조업 선주) / 포항시
"1인 조업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이거는 물에 빠지면 조치를 취해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그런 극한 상황에 접하게 돼요"
이에 맞춰 해양수산부와 지자체, 수협은
지난 7월부터 어민들을 대상으로
수분이나 수압을 감지해 자동으로 팽창하는
신형 구명조끼 보급 사업에 들어갔습니다.
구입 비용의 80%를 정부와 지자체가 보조하면서
자부담이 20%에 불과해 현장의 반응은
좋습니다.
◀ INT ▶권도현 (1인 조업 선주)/ 포항시
"목숨에 직결되니까 아무래도 바다에 빠지면 살 확률이 적죠. 구명조끼를 입으면 그래도 살 확률이 높아지니까 아무래도 필수적으로 구비를 해놓아야"
하지만 이미 개인적으로 구명조끼를
비치했다는 등의 이유로 아직 신청을 하지 않은
어민들이 많습니다.
[ CG ] 포항시의 경우
8월에 마감한 1차 신청 결과
전체 보급 대상 4500벌 가운데
1천5백 벌, 1/3 정도만 신청했습니다.
[ CG ] 이렇다 보니
경북의 구명조끼 보급률은 18.8%,
전국 평균 55.2%를 크게 밑돌았습니다.
특히 자부담 20%를 전액 지원해
사실상 무상 보급인 경기도는
보급률이 87%에 달해 큰 대조를 보였습니다.
포항시와 수협 측은
8월에 마감한 1차 신청 물량은 곧 어업 현장에 전달하고 다음 달까지 추가 신청을 받아
연말까지는 전 어민들에게 신형 구명조끼를
보급한다는 계획입니다.
◀ INT ▶ 김홍일 지도과장/ 포항수협
"일부 어업인들이 신청을 안 하고 계신 분도 있고 대다수 어민들이 신청을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연말까지 전 어민들에게 원활하게 보급이 될 수 있도록"
해양수산부는 제도 시행일인
다음 달 19일부터 2주간의 계도 기간을 거친 뒤
집중 단속을 실시해 위반 시 3백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mbc 뉴스 장성훈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