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 커 ▶
내일부터 7일간의 황금 추석 연휴가 시작됩니다.
긴 연휴를 앞둔 전통시장과 마트는
준비에 나선 시민들로 하루 종일 분주했습니다.
긴 연휴와 지역 경기 침체로
상차림은 간소화하고
나들이를 계획한 가족들이 많습니다.
장미쁨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명절이면 빠질 수 없는 노릇노릇한 전을
철판 위에서 쉼없이 뒤집습니다.
예전에는 집에서 하루 종일 만들었지만,
요즘은 이렇게 한접시만 구입해
간단히 먹겠다는 가정이 많습니다.
◀ INT ▶이옥희/죽도시장 상인
"조금씩 사서 가. 모둠으로. 조금씩. 옛날처럼 많이 안 사가요. 만원어치씩. 그걸 제일 많이 사가"
첫 아이와 함께하는 첫 명절,
가족들과 간단히 식사를 하고
근교 나들이를 갈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 INT ▶최은광씨 부부/포항시 상도동
"(전 등 명절 요리)하지 말라고 했어요. 저희 본가하고 처가하고 다 하지 말라고. 저희가 그냥 사 간다고 했거든요. / 다같이 외식하고 강아지 산책 시키고, 얘기 나누면서 (보낼 생각이에요). 제사도 없어요"
어시장에도 북적거리는 사람들로
발 디딜 틈이 없습니다.
특히 긴 연휴에 가족들과 여행 삼아 동해안을
방문하는 사람들도 연휴마다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 INT ▶이재윤/서울시 거주
"서울에서 왔고요. 여기는 놀러 왔습니다.
경주 쪽에 놀러 왔는데 포항 들러서 구경하고
죽도시장이 유명하다고 해서 한 번 들렀습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태풍 피해가 없었던 이번 추석 명절에는
사과와 배 등 과일은 작년보다 가격이 조금
내렸습니다.
명절에 차례상을 차리는 제사보다는
가족 여행이나 가벼운 모임이 보편화된 탓에,
선물도 과일 세트보다는
참치나 햄 같은 통조림 종류의 매출이
2배 이상 늘었습니다.
특히 포항은 철강업계 부진으로
지역 경제가 위축돼 있어 비교적
차분한 분위기로 명절을 맞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정부는 소비쿠폰 2차 발급과
장보기 환급행사 등으로 소비 진작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실제 효과로 이어질지는
아직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MBC뉴스 장미쁨입니다.